728x90
반응형
이전포스팅: https://stoxic.tistory.com/187
2. 패키지 설치하기
사실 다른 블로그 같으면 볼륨설정 부분이 나와야 하지만 단독 구성을 하신 분들은 볼륨도 자동으로 생성이 됩니다. 그래서 볼륨 설정하실 필요가 없어요. 이런식으로 스토리지 검사를 하고 있
stoxic.tistory.com
NAS를 외부에서 접속할 수 없으면 사용하는 의미가 거의 반은 사라지죠?
오늘은 퀵 커넥트 기능을 이용한 외부 접속을 소개하려고 합니다.
제어판에 들어가 연결성 부분의 "Quick connect" 를 접속 합니다.
Quick Connect 활성화에 체크 하신 후 계정을 생성하시면 됩니다. 이때 ID가 곧 외부에서 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키워드가 되는데요. 쉽게 말씀드려 http://quickconnect.to/내ID 의 형식으로 접속이 되기 때문에 신중히 정하시는게 좋습니다.
이 방법이 가장 심플하기 때문에 권장해 드립니다.
다른 방법은 포트포워딩이니 뭐니 해야해서 복잡합니다.
Next: https://stoxic.tistory.com/189
4. 방화벽 초기 설정
시놀로지 NAS를 쓰는 장점 중의 하나는 바로 보안성 이더군요. 보안을 위해 초기설정을 한번 잡아보겠습니다. 우선 제어판 -> 보안으로 들어갑니다. (안 보이는 경우 "일반보기" 가 아닌 "고급보기
stoxic.tistory.com
728x90
반응형
'Automation > Synolog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 시놀로지 NAS 파일을 지워도 용량이 줄어들지 않을 때 (0) | 2020.07.15 |
---|---|
4. 방화벽 초기 설정 (0) | 2020.07.08 |
2. 패키지 설치하기 (0) | 2020.07.08 |
1. DSM 설치와 레이드 구성 (0) | 2020.07.08 |
시놀로지 RT2600ac 개봉기 (0) | 2020.07.08 |